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최저시급 연장근로 수당(야간·휴일 근무 추가 수당) 계산

by kgwon 2025. 6. 17.

연장근로수당
연장근로수당

2025년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연장근로, 야간근로, 휴일근무 시 받을 수 있는 추가 수당 계산법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.

최저임금 계산기

1. 최저시급 및 추가 수당의 기본 개념

2025년 최저시급은 10,030원입니다. 추가 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정해지며, 시간외 근로, 야간 근로, 휴일 근로에 대해 각각 다른 비율로 지급됩니다:

  • 연장근로 수당: 통상임금의 1.5배
  • 야간근로 수당: 통상임금의 1.5배 (22시~06시)
  • 휴일근로 수당: 통상임금의 1.5배 (8시간 이내), 2배 (8시간 초과)

2. 연장근로 수당 계산법

연장근로란 법정근로시간인 1일 8시간 또는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는 시간을 말합니다.

계산법:

  • 추가 수당 = 최저시급 × 근로시간 × 1.5
  • 예시: 연장근로 2시간
    10,030원 × 2시간 × 1.5 = 30,090원

3. 야간근로 수당 계산법

야간근로는 22시부터 익일 06시 사이에 근무하는 시간을 말합니다. 기본 근로뿐만 아니라 연장근로에도 추가 적용됩니다.

계산법:

  • 추가 수당 = 최저시급 × 야간 근로시간 × 1.5
  • 예시: 야간근로 3시간
    10,030원 × 3시간 × 1.5 = 45,135원

4. 휴일근로 수당 계산법

휴일근로는 법정휴일주휴일에 근무하는 경우를 포함하며, 근로시간에 따라 수당이 다릅니다:

  • 8시간 이내: 통상임금의 1.5배
  • 8시간 초과: 통상임금의 2배

계산법:

  • 8시간 이내: 최저시급 × 근로시간 × 1.5
  • 8시간 초과: 최저시급 × (8시간 × 1.5 + 초과 시간 × 2)
  • 예시: 휴일근로 10시간
    (10,030원 × 8시간 × 1.5) + (10,030원 × 2시간 × 2) = 160,480원

5. 추가 수당 계산을 위한 팁

추가 수당을 정확히 계산하려면 다음 사항을 확인하세요:

  • 근로시간 기록: 출퇴근 시간과 초과근로 시간을 철저히 기록하세요.
  • 법정근로시간 확인: 주 40시간 기준을 초과하는지 점검하세요.
  • 고용주와 협의: 근무시간과 수당 지급에 대해 미리 합의하세요.

6. 자주 묻는 질문 (Q&A)

Q1: 연장근로와 야간근로가 겹치면 어떻게 계산하나요?
A: 두 항목의 수당이 각각 적용됩니다. 예를 들어, 22시 이후 연장근로 시 기본 연장수당(1.5배)과 야간수당(1.5배)이 모두 계산됩니다.

Q2: 주휴수당과 연장근로수당은 중복 적용되나요?
A: 네, 별도로 계산하여 지급해야 합니다.

연장근로수당
연장근로수당
연장근로수당
연장근로수당

반응형